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uncle mathian 2024. 10. 16. 22:15
728x90
728x90

수학하는 아저씨예요. 이상한 아저씨지만 따라오라고 하진 않을 테니 걱정 마세요.

저는 수년간 지식iN 활동을 했어요. 앞으로도 계속 활동은 할 생각이지만 비슷한 질문이 올라오면 아무래도 똑같은 답을 하기는 지치더라구요. 그래서 질문이 많은 내용들을 블로그에 정리를 해볼 생각이에요.

나름대로 오래 공부하기도 했고, 수학 실력은 꽤 자신 있거든요. 특히 어렸을 때 친구들을 시작으로 지금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것도 나름 익숙하다고 생각해요.

사실 이전에도 수학을 주제로 블로그를 시작해 보긴 했지만 새 글에 대한 주제를 고민하다 보면 글 수가 늘어나질 않더라구요. 그래서 그나마 사람들이 많이 찾아볼 것 같은 내용들로 구성하기 위해 질문받은 내용들로 만들어보려구요.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는 또 다른 이유

다시 블로그를 하려는 이유 중에 하나는 표현 때문이에요. 이공계 석박사를 하신 분들은 아실 수도 있겠지만 문서 작성 프로그램이나 온라인에서 사용하는 수식표현은 TEX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죠. Microsoft word나 Google word도 그렇고 제가 활동하는 지식iN 수식표현도 모두 TEX기반의 표현들이죠. Online equation editor들도 다들 그렇구요. 하지만 직접 TEX을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표현이 제한적이고 이상한 경우도 있어서 많이 불편하더라구요. 그래서 예전 블로그를 시작할 때에도 사용했던 Mathjax를 써서 좀 더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본 거죠.

아마 댓글에서도 수식표현이 가능할 테니 TEX을 사용해 본 적이 있는 분이라면 댓글에 수식을 써서 질문을 하셔도 좋겠죠. 언젠가 질문하시는 분 중에 사용법을 물어보시는 분이 있다면 안내하는 글도 하나 써야겠네요.

또 요즘 많이 사용하는 GeoGebra처럼 시각적인 표현도 해보고 싶었어요. 물론 사용은 해봤지만 몇 가지 불편한 부분이 있어 저는 다른 걸 써보려구요. Python 기반의 수학 특화 언어인 Sagemath라는 걸 쓰고 있죠. 뭐 그렇다고 엄청난 걸 하는 건 아니고 간단한 그림이나 짧은 GIF 동영상 같은 걸 생성하는 정도예요. 아무래도 시각적인 표현을 쓰면 이해에 도움이 많이 되니까요. GeoGebra의 표현이 시인성은 더 좋은 것 같아서 기회가 되면 이것도 사용해보고 싶네요.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질문했던 내용을 정리하는 형태의 블로그로 시작하지만, 언젠가 수학지식을 찾기 위해 사람들이 찾아오는 괜찮은 블로그가 됐으면 좋겠네요.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