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사이클로이드를 소개하면서 함께 설명했던 것처럼, 하이포사이클로이드는 고정된 원을 따라 그 내부에서 굴러가는 원 위의 한 점이 지나는 궤적을 말해요.
위의 곡선은 하이포사이클로이드 중 하나인 델토이드 deltoid예요. 보시다시피 굴러가는 원이 고정된 원의
먼저 고정된 원 내부에 생기는 곡선이니 지난번처럼 표현하는 영역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요. 대신 굴러가는 원이 내부에 들어가려면 더 작아야 하죠. 또한 에피사이클로이드와 다르게 같은 비가 아니라도 같은 곡선이 나오기도 해요. 물론 비가 무리수가 되면 곡선이 같은 궤적을 반복하지 않는다는 점은 같죠.
이번에도 위 그림의 링크로 들어가면 재생 중이 아닌 두 슬라이드를 조정해서 다른 하이포사이클로이드를 확인할 수 있어요. 고정된 원의 반지름이 1이고 굴러가는 원의 반지름이 1보다 작은 유리수인 경우로, 분모
하이포사이클로이드의 매개변수 방정식은 에피사이클로이드와 비슷하게 생겼어요. 위의 반지름을 적용시켜 표현해 보면
이번 곡선도 복소수 표현을 이용해서 본문에 적은 식과는 조금 다르지만, 위의 식을 참고하면 직접 만드는 것도 가능하실 거예요.
'수학의 시각화 [desm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smos] 삼각형의 오심을 작도해보자. (0) | 2024.12.14 |
---|---|
[desmos] 기하학 시작하기 - 모든 것은 점에서부터 (0) | 2024.11.20 |
[desmos] 입체도형을 그려보자. - 카탈랑 다면체 (1) (0) | 2024.11.17 |
[desmos] 곡선을 그려보자. - 에피사이클로이드 (0) | 2024.11.15 |
[desmos] 입체도형을 그려보자. - 아르키메데스의 다면체 (1) (1) | 2024.11.14 |